보도자료
|
http://www.keit.re.kr
| |
이 자료는 2012년 2월 9 일 자 조간(朝刊)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문의 : 조일구 기획총괄팀장(042-715-2220), 이현숙 홍보팀장(02-6009-8040)
|
특허정보 분석을 통한 산업기술 메가트랜드 분석결과 발표
- KEIT, 25대 산업기술분야 총160개 미래부상기술 선정 -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원장 서영주)은 특허청과 공동으로 지난 10년간의 특허정보 분석을 통해 25대 산업기술분야의 메가트랜드 분석 및 미래부상기술(Emerging technology) 선정 결과를 8일 발표하였다. 선정대상은 급격한 성장기술, 다른 분야나 기술로 전이 또는 변화하는 과정의 기술, 경제적 잠재력이 높은 기술 등이 포함 되었다.
보고서는 25대 산업기술 분야별로 국가간 기술경쟁 분석, 국가별 기술력추이 분석, 주요 경쟁자 현황을 분석 하였으며, 향후 R&D 개발 지원테마 발굴을 위해 미래 부상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특허의 출원증가율, 구간별 점유증가율, 주요출원인별 구간별 점유증가율, 국가별 외국인 출원증가율 및 기술순환주기 등을 분석하여 25대 산업기술 분야에 총 160개 미래부상기술을 발굴․선정하였다.
KEIT 김창훈 기획운영PD는 “산업기술분야 메가트랜드 분석” 결과는 산업융합원천 R&D 전략수립 및 도전적·혁신적 R&D 과제 발굴기획에 중점 활용될 계획이며“ 또한“신기술 정보의 90%이상이 특허정보에 담겨 있는 만큼 특허정보 분석을 철저히 하여 R&D 전주기에 활용함으로써 과학적이고 신뢰성 높은 R&D 기획관리 시스템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된 ‘특허분석을 통한 산업기술 메가트랜드“ 보고서는 신산업·주력산업, 정보통신산업으로 나눠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KEIT 홈페이지(www.keit.re.kr) - KEIT 발간물 코너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참고> 1. 25대 산업기술분야 미래부상기술
2. 산업기술 특허트랜드 분석보고서 주요 분석 내용
<참고1> 25대 산업기술분야 미래부상기술 현황
대분류
|
중분류
|
미래 부상 기술
|
신산업
(40개)
|
나노융합(5)
|
1. 나노 기억 소자 기술
2. 차세대 나노 진단 제품 및 기기 기술
3. 나노 융합 태양 전지 기술
4. 나노 융합 이차 전지 기술
5. 나노 패터닝 기술
|
IT융합(4)
|
1. 실시간 3D 디지털 안전맵 기술
2. 선박 생애주기 관리 기술 도로 이용에너지 생산기술
3. U-기반 지능 협업 기술
4. 위기대응 지능형 섬유제조기술
| |
바이오(8)
|
1. 바이오 연료
2. 석유화학 대체소재 생산용 바이오매스
3. 바이오 플라스틱 및 바이오 폴리머
4. 저분자 의약품
5. 재생의약품
6. 바이오기반 진단 기술
7. 바이오 화학 중간체
8. 유전체 육종 시스템
| |
차세대 의료기기(7)
|
1. 생산신호 측정 진단기기
2. 중재적 의료기기
3. 초음파진단기기
4. 수술용 로봇
5. 원격 및 재택의료기기
6. 생활지원기기
7. 임플란트
| |
차세대 로봇(4)
|
1. 직업의 전문 서비스용 로봇
2. 직업의 개인 서비스용 로봇
3. 부품 센서
4. 부품 드라이버
| |
지식서비스(8)
|
1. 서비스 표준화/품질관리
2. 서비스 네트워크 협업지원
3. 시험/검사/분석 기법
4. 지식재산권 분석/관리 기술
5. 참여형 러닝 기술
6. 이트레이닝 기술
7. 소비자 행동모델링/테스트기법
8. 방송/광고/영화 미디어 관련 기술
| |
RFID/USN(4)
|
1. RFID 리더 기술
2. RFID 시스템 기술
3. 센서 및 Actuator 기술
4. 센서노드 에너지 획득 및 관리 기술
|
□ 주력산업분야
대분류
|
중분류
|
미래 부상 기술
|
주력산업
(59)
|
자동차
(11)
|
1. 후처리 관련기술
2. 대체연료 기술
3. 섀시 모듈 기술
4. Ride & Handling 기술
5. 지능형 공조 기술
6. 사고예방 기술
7. 차량용 통신 기술
8. 차량용 임베디드 SW 기술
9. 구동 및 제어 기술
10. 충전 기술
11. 엔터테인먼트 기술
|
조선
(5)
|
1. LNG 운반선
2. FPSO
3. 해양에너지 발전플랜트
4. 빙해선박
5. Drillship & Semi-rig
| |
생산시스템
(8)
|
1. 초정밀 측정/검사 시스템
2. 초고속 가공 시스템
3. 대형/다기능 가공 시스템
4. 기능화 융합 공정 시스템
5. 지능형 무인 작동 건설 기계
6. 고성능 비의류용 섬유 생산
7. 친환경 고효율 승강기 운용
8. 형상설계/해석설계
| |
생산기반
(5)
|
1. 특수성형 기술
2. 침탄기술
3. 질화기술
4. 건식코팅기술
5. 압출성형기술/인발기술
| |
금속재료
(6)
|
1. 전기전자부품용 소재
2. 패키징 소재
3. 센서용 소재
4. CO2 저감기술
5. 신재생에너지 소재
6. SOC/플랜트 소재
| |
섬유의류
(12)
|
1. 수송용 소재
2. 에너지환경 소재
3. 산업자재용 소재
4. 인테리어 섬유
5. 수면환경 섬유
6. 웰빙환경 소재
7. 기능성 소재
8. IT융복합 섬유
9. LOHAS 섬유
10. 섬유 패션 제품
11. 전자통신 융합형 소재
12. 의료기능융복합 소재
| |
화학공정소재
(5)
|
1. 대체연료
2. 염료 및 안료
3. 신화학정밀소재
4. 바이오고분자
5. 바이오세라믹
| |
플랜트
엔지니어링(7)
|
1. 석탄가스화복합발전
2. 태양에너지 플랜트 기술
3. Co2 회수 및 저장 시스템
4. 바이오 에너지 플랜트 기술
5. 부유식 석유가스 생산설비
6. LNG-FRSU/FPSO
7. LNG Bunkering Terminal
|
□ 정보통신산업분야
대분류
|
중분류
|
미래 부상 기술
|
정보통신 산업
(61)
|
반도체
(4)
|
1. 그린 SoC
2. 자동차 SoC
3. 정보통신/멀티미디어 SoC
4. 초소형 IT용 이차전지
|
디스플레이
(7)
|
1. AMOLED 대형 모듈
2. AMOLED 소형 모듈
3. AMOLED 장비
4. AMOLED 소재
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장비
6. 플렉시블 AMOLED
7. 3D-DISPLAY
| |
LED/광
(5)
|
1. LED패키지 및 소재
2. 조명엔진
3. 특수조명
4. LED제어시스템
5. 광정보기기
| |
홈/정보가전
(6)
|
1. 지능형 홈 미들웨어
2. 스마트홈 클라우드 시스템
3. 무선 홈네트워킹 통신 기술
4. 융합 단말
5. 3D 기기 및 장비
6. 3D 융합서비스 시스템
| |
DTV/방송
(5)
|
1. UHD
2. 스마트/N-screen
3. 소셜미디어
4. 방송 클라우드
5. IPTV
| |
차세대 이동통신
(4)
|
1. 융합서비스 플랫폼 기술
2. 융복합 단말 기술
3. 광역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
4. 이동통신 인증시험 기술
| |
BcN
(6)
|
1. 유무선 이동형 액세스 시스템 기술
2. 패킷 전달망 장치 기술
3. 전송 시스템 기술
4. 기가급 가입자 전송 시스템 기술
5. 액세스망 부품 기술
6. 게이트 웨이 시스템 기술
| |
SW
(9)
|
1. 임베디드 운영체계 및 시스템 SW
2. 서버플랫폼 SW
3. 클라이언트플랫폼 SW
4. 저장시스템 SW
5. 서비스 조합 SW
6. 언어처리 SW
7. 인공지능 SW
8. 영상처리 SW
9. 실감형 인터렉션 SW
| |
차세대 컴퓨팅
(9)
|
1. 웨어러블 컴퓨터 H/W 기술
2. 인간 친화형 커뮤니티 서비스 S/W 기술
3. 클라우드 가상시스템 관리기술
4. 클라우드 인프라 가상 처리 기술
5. 클라우드 서비스 및 응용 시스템 기술
6. 클라우드 고품질 그래픽 데이터 처리 기술
7. 데이터센터 전력 모니터링 및 관리
8. 소셜네트워킹서비스
9. 매니코어 컴퓨팅기술
| |
지식정보보안
(6)
|
1. 클라우드 보안
2. 스마트 그리드 보안
3. VoIP/IPTV/LBS 보안
4.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5. 부채널 공격 방지
6. 사고대응
|
<참고 2> 산업기술 특허드랜드 분석보고서 주요분석 내용
분석내용
|
분석지표
|
국가간 기술경쟁력 분석
➡ IP관점에서 국가별 기술력, IP시장확보력, 특허활동 위치, 연구개발방향, 기술발전속도 분석/비교
|
o 피인용도지수(CPP : Cites per Patent)
o 시장력지수(PFS : Patent Family Size
o 인용도지수(Backward Citation)
o 비특허문헌 인용지수(Non-Patent Citation)
o 기술순환주기(TCT : Technology Cycle Time)
|
국가별 기술력 추이 분석
➡ 특정국가의 기술혁신 성과의 질적 양적 수준을 구간별 분석을 통해 특정국가의 기술력 추이 분석
|
o 영향력지수(PII : Patent Impact Index)
o 기술력지수(TS : Technology Strength)
|
기술분야별 주요 경쟁자 분석
➡ 기술개발이 활발한 연구기관과 주요 연구기관이 관심 갖는 시장주도국 파악
|
o 3극 패밀리수
o 특허출원 증가율
o 시장확보지수
o 피인용지수
o 신규진입자수
|
미래부상기술 분석
➡ 출원증가율, 구간별점유증가율, 주요 출원인 구간별 점유증가율, 국가별 외국인 출원증가율 및 TCT 주기 등을 고려하여 최종 부상기술 도출
|
o 특허출원 증가율
o 구간별 점유증가율
o 주요출원인 구간별 점유증가울
o 국가별 외국인 출원증가율
o 기술순환주기(TCT)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