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미국 GRID 2030 추진현황 및 국내 소비자참여형 스마트그리드

http://www.itfind.or.kr/itfind/periodical/viewPublication.htm?identifier=02-001-111219-000018&classCode=B_UGN_133


[KETEP Issue Paper 2011-04호] 미국 GRID 2030 추진현황 및 국내 소비자참여형 스마트그리드
발  행  일2011.12.19조 회 수72
출       처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       문file29175-미국 GRID 2030 추진현황 및 국내 소비자참여형 스마트그리드.pdf
◎ 미국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 주요 내용(GRID 2030)

o Northeast Blackout 이후 미국은 GRID 2030에 의해 전력망을 현대화하고 NIST의 Smart Grid 상호운영 표준화 로드맵(2010)에 따라 전력생산 기술, 송배전기반시설 및 시스템 운영, 소비자 실시간 수요정보, Smart Grid화 등 비즈니스모델 변화를 수용할 기술개발 및 사이버보안이 확보된 전력망 네트워크 구축
o Smart Grid 표준화를 NIST의 최우선 분야로 정의

◎ DOE의 최근 4년간 전력망 현대화 전략 및 성과

o 새로운 전력공급 비즈니스모델 및 전력생산원별 전력 생산자, 전력망 운영자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송배전·전력저장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집중개발하고 현장 실증으로 연계
o Naperville의 NSGI(Naperville Smart Grid Initiative)은 2010년 ARRA의 지원

◎ 국내 스마트그리드 전략로드맵 주요 내용(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 2011)

o 개발된 전력IT,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실증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위한 민간 컨소시엄 구축, 전력에너지 정보 네트워크 및 데이터 처리기술을 이용한 설비 디지털화 및 무인자동화, 지능화 상용화를 주요 내용으로 함
o 국내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세계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2009년 구축된 제주도 실증단지는 확장 통합운영의 2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운영요령 (2011.9)’과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이 제정 되었음

◎ 시사점 및 핵심 이슈

o 미 국은 송·배전망 노후로 발생되는 전력 송배전 손실을 줄이고 에너지 공급 효율화를 위해 GRID 2030을 도입하였으며, 소비자(산업체, 일반가정, 학교 등)의 ‘Energy Saving=Money’ 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Smart Meter, PMUs, AMI 보급 및 실증을 가속화하고 있음
o 한국은 소비자참여형 스마트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전력요금 변동제에 대한 시민의식 제고 시급

댓글 없음:

댓글 쓰기